본문 바로가기

식이섬유의 체내 흡수와 대사, 자세히 알아보세요

salredin 2023. 5. 16.
반응형
            

식이섬유의 체내 흡수와 대사, 자세히 알아보세요

식이섬유는 인간이 섭취한 음식물 속에 있는 섬유 성분으로, 소화효소에 의해 소화되지 않고 대장으로 이동하여 건강에 좋은 영향을 미칩니다.

식이섬유는 대략적으로 물에 용해성이 있는 수용성 섬유와 물에 용해하지 않는 비수용성 섬유로 나눌 수 있습니다. 수용성 섬유는 물과 접촉하면 젤 상태가 되어 소장 내부에서 흡수되고 배출될 때 에너지를 생성합니다. 대표적인 수용성 섬유로는 베타글루칸, 나이아신, 펙틴 등이 있습니다. 반면 비수용성 섬유는 소장에서 물에 흡수되지 않기 때문에 변비 예방과 치질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대표적인 비수용성 섬유로는 셀룰로오스, 헴리셀룰로오스 등이 있습니다.

식이섬유가 대장 내부에서 흡수되는 과정에서 미생물의 작용에 의해 발효되면서 단순탄수화물, 지방산, 가스, 산소 등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대사과정은 유전체 복사 검사나 특이한 암 검사 등을 통해 대장 내부의 미생물군집을 분석하는 데 유용하게 사용됩니다.

식이섬유는 심혈관 질환, 당뇨, 비만 등 각종 만성 질환의 예방과 치료에 효과적이며, 대장암, 치질, 변비 등에도 도움을 줍니다. 그러므로 식이섬유의 적정 섭취량은 개인의 건강상태에 따라 다릅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하루에 25~30g의 식이섬유를 권장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