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오래 못사귀는 이유? 진짜 몰라요?

salredin 2020. 10. 19.
반응형

연애는 곧잘 하는 거같습니다. 낯선사람 앞에서 말을 잘 못하는 것도 아니고, 유머러스하고 분위기에 잘 섞입니다. 애정을 보이면 상대방도 좋아라 해주고, 별 문제없이 잘 지냈는데, 문제는 연애기간이 짧을 수 있습니다. 만남은 잘 성사가 되지만 짧은 연애기간. 답답하기만 하죠? 썸을 지나 이제 막 더 좋아지려 하는데 이별통보를 받으면 정말 분통이 터집니다. 이렇게 짧게 헤어지는 이유는, 단 하나입니다. 기본이 안되어있습니다. “연애는 상대적으로 하는 건데, 기본이고 정석이 어디있냐??”라고 하실 수 있는데 여기서 기본은 사람과 사람과의 관계에서 말하는 최소한의 기본입니다. 사람은 모든 일에 만능이 아니기에 눈치를 잘 못챌 수 있지만 받아들이는 사람은 다릅니다. 그렇다면 나에게 마이너스를 주는 기본이 안된 기본들 알아볼까요??

 

 

 

 

1.부담스럽다.

사람은 부담을 너무너무너무 싫어합니다. 제일 쉽게 알아챌 수 있는 부담은 “오버”입니다. 상대방에 대한 리액션은 좋지만, 상대방도 어떠한 액션을 취하면 상대방이 얼마만큼의 리턴이 돌아온다는 걸 경험으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거기서 생각보다 다른 오버를 한다면 여기서 [부담]이 생기는 겁니다. 부담의 성격에도 여러 가지가 있는데 앞서 말했든 1을 줬는데 상대방은 1이나 2를 리턴을 한 다고 예상을 합니다. 그런데 4나 5정도로 되돌려준다면 부담이 옵니다. 자 그럼 예를 들어볼까요?? 연애초기, 사귄지 3일됐다고 가정을 합시다.

>>오늘 너무 잼있었어. 잘가~

<<어 좋았어?? 나도 엄청 좋았어. OO아 나 너 너무사랑하고 너 없으면 죽을거 같아. 집에갈 때 보고싶어 죽으면 어쩌지?

 

자, 어떤 늬앙스인줄 아시겠죠?? 오버는 독입니다. 여기서 또 남자들이 하는 오버가 하나있는데 만난지 한달도 안됐는데 결혼이야기와 자녀는 몇 명을 낳고 어머님은 뭐좋아하시냐 아버님은 어떤 사위감을 좋아하시느냐 등등 혼자 김칫국 마시는 남자도 있습니다. 1백프로 부담으로 작용하고, 반복된다면 이별통보를 받을 수 있습니다.

 

 

 

2. 연락을 잘 안한다.

연락은 기본입니다. 기본중에 기본입니다. 일을 하든, 친구를 만나든, 술을 먹든 최소한의 연락은 되어야합니다. 특히 연애초기에는 중요합니다. 사람은 3초안에 첫인상이 각인된다고 하죠? 연애도 초기의 인상이 중요합니다. 연애초기에 이런사람이라는 걸 도장찍히면 평생 갈 수도 있습니다. 사람은 연락안되는 걸 누구나 싫어합니다. 바쁘다고, 술먹었다고 변명을 대는 사람이 있는데, 넘사벽 반론이있습니다. “화장실에 가면서 카톡정돈 할 수 있잖아.”입니다.

그렇습니다 연락은 성의입니다. 그 사람을 얼마나 많이 신경쓰고있냐는 성의입니다. 구태여 이런 개론이 아니라 사람은 연락의 빈도로 이사람이 나에게 얼마나 관심이있고 성의가 있는지 직감합니다. 본능이죠. 그런데, 컨셉을 잘못잡으신 사람도 있습니다. “나 원래 연락잘안해. 폰 보는게 귀찮아.”라는 컨셉을 잡은 지인들이 있는데 100에 90은 짧은 만남으로 끝나거나 이른 이별통보를 받는 걸 목격했습니다.

 

 

 

3. 집착

위에서 말한 1번과 2번의 조합?된 경우입니다. 오버를 하지말라고 말씀을 드렸지만 집착도 오바가 될 수 있습니다. 사귄지 1주일째에 누구만나냐, 왜 나와는 데이트 하지않냐, 그남자(여자)는 누구냐, 언제부터만났냐, 집에들어갈 때 현관문 도어락 버튼 들려줘라, 영상통화해서 주위에 누가있는지 보여줘라 등등등 이것은 연락의 성의가 아니라 집착오바입니다. 사람은 잡을수록 도망가는 사회적 동물입니다. 누를수록 튀어오르지요. 잘 생각해 보세요. 부모님 집에 얹혀살 때, 오랜만에 친구를 만나 소주한잔 하는데 10시부터 부모님한테 전화와서 안들어오냐고 성화를 내십니다. 얼마나 싫습니까? 조금있다가 들어간다고 이야기 드려도 10분뒤에 또 전화옵니다. 친구들이랑 인사나누고 헤어지는 순간조차 또 전화오고 택시 잡으려고 할 때 또 전화옵니다. 전화를 받으면 십중팔구 화내실 건데 전화받기가 두려워집니다. 이런일이 반복이 되면 친구만날때마다 부모님 전화를 의식하게되고 안받으려고 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