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귀광대버섯

salredin 2020. 10. 7.
반응형

마귀광대버섯 |

Ma-gwi-gwang-dae-Beo-seot

Amanita pantherina (DC.) Krombh. 1846

 

 분류

Basidiomycota 담자균문 > Agaricomycetes 주름버섯강 > Agaricales 주름버섯목 > Amanitaceae 광대버섯과 > Amanita 광대버섯속

-우리나라에는 광대버섯속에 58종 정도가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분포

한국, 북반구 온대 이북, 아프리카 | 여름~가을, 활엽수림, 침엽수림 내 지상에 홀로 나거나 또는 흩어져 발생하다. 외생균근성 버섯이다.

 

 개요

주름버섯목 광대버섯과에 속하는 독성 균류이다. 갓은 지름 4-12cm의 크기로 구형에서 오목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습할 때에 약간의 점성을 나타내고 회갈색-갈색을 띠고 많은 백색 사마귀로 덮여있고 가장자리는 종종 방사상 홈선이 있다. 주름살은 흰색이고, 주름의 폭은 빽빽하며 대에서 떨어진 형이다. 대는 5-25×0.5-3cm로 기부는 구근상이며, 표면은 흰색, 아랫부분은 섬유상 인편이 있다. 턱받이는 흰색의 막질이며 대주머니는 흰색으로 2-4개의 고리 모양으로 기부에 붙어 있다. 포자는 광타원형으로 평활하며 크기는 9.5-1×7-9㎛이다. 전국의 숲 속에서 여름-가을에 발행하며, 세계적으로 아시아, 유럽, 북미에 분포한다.

 

 활용

식용 불가, 독버섯

 

 동정 포인트

붉은점박이광대버섯(A. rubescens)은 마귀광대버섯과 외관상 매우 유사하나, 갓 끝 부위에 방사상으로 홈선이 없고, 상처를 주거나 노화되면 조직이 붉게 변하며, 포자는 멜저용액에서 비아밀로이드란 점이 다르다.

 

 참고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다양성

species.nibr.go.kr/home/mainHome.do?cont_link=009&subMenu=009002&contCd=009002&ktsn=120000008231

김양섭, 석순자 박영준 <한국의 버섯도감>

 

Amanita pantherina (DC.) Krombh.

 : 담자균문(Basidiomycota)
 : 균심아강(Hymenomycetidae)
 : 주름버섯목(Agaricales)
 : 광대버섯과(Amanitaceae)
 : 광대버섯속(Amanita)

한국, 북반구 온대 이북, 아프리카

특징

형태적 특징 : 마귀광대버섯 갓의 지름은 3~25cm 정도이며, 초기에는 구형이나 성장하면서 편평형이 되고, 후에 오목편평형이 된다. 갓 표면은 회갈색 또는 갈색이며, 사마귀 모양의 백색 외피막 파편이 산재하고, 습하면 점성이 있으며, 갓 둘레에는 종종 방사상의 홈선이 있다. 주름살은 떨어진주름살형이며, 다소 빽빽하고 백색이며, 주름살 끝은 약간 톱날형이다. 대의 길이는 5~20cm 정도이며, 백색이며, 위쪽에 턱받이가 있고, 턱받이 밑에는 섬유상의 인편이 있다. 기부는 팽대하여 구근상을 이루고 바로 위에는 외피막의 일부가 2~4개의 불안전한 띠를 이룬다. 포자문은 백색이며, 포자모양은 긴 타원형이다.

발생시기 및 양상 : 여름부터 가을까지 활엽수림, 침엽수림 내 지상에 홀로 나거나 또는 흩어져 발생하며, 외생균근성 버섯이다.

이용 가능성 여부 : 독버섯이다.

참고 : 이보테닉산-무시몰 독성이 있는 버섯으로, 식용버섯인 붉은점박이광대버섯과 유사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네이버 지식백과] 마귀광대버섯 (우리 산야의 자연버섯, 2011. 2. 22., 푸른행복)

반응형

댓글